♣ 들어가면서
♣ 기문둔갑이란
제1부 기문포국론(奇門布局論)
제1장 사주팔자 작성
제2장 구궁의 포국
1. 구궁의 기초이론
2. 구궁 팔괘의 속성
3. 홍국수의 산출과 포국
4. 四干과 四支
5. 동처와 비동처
6. 육친과 육신정법
7. 유년운(流年運)
8. 공망(空亡)
9. 12운성(12運星)
10. 홍국수 강약측청
11. 천을귀인(天乙貴人)
12. 일록(日祿)
13. 천마(天馬)
14. 12신살(12神殺)
15. 기문오국(奇門五局)
제2부 음양 오행론(陰陽五行論)
제1장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
제2장 천간론(天干論)
제3장 지지론(地支論)
제4장 합형충파해론
제3부 역의 변화론(易의 變化論)
제1장 易의 변화 원리
제2장 하도와 구궁
제3장 낙서와 구궁
제4부 기문 신살론(奇門 神殺論)
제1장 십이운성론
제2장 공망론
제3장 삼살론
제4장 삼형론
제5장 십이신살론
제6장 기문신살론
제5부 기문통변론(奇門通辯論)
제1장 구궁과 팔괘론
제2장 홍국수 통변론
제3장 육친과 육신론
제4장 홍국수 강약론
제5장 홍국수 통기론
제7장 중궁론(中宮論)
제8장 통변기초론
1. 칠화심성론
2. 동정론
3. 주객론
4. 오십토 구분
5. 우인좌비
6. 화살
7. 내궁과 외궁
8. 핵우산
9. 극자비극론
10. 합론
♣ 부록 : 구궁(九宮) 활용양상의 비교분석
♣ 참고문헌